진달래, 철쭉, 산철쭉, 영산홍을 구분해서 보는 재미
4월 초에 진달래가 피기 시작하면 봄이 왔구나 하는 설레임이 생깁니다.
4월 말부터 철쭉, 산철쭉, 영산홍 등이 피면 누가 누구인지 한번쭘 찾아 보게 됩니다.
진달래, 철쭉, 산철쭉, 영산홍은 진달래과에 속하는 형제들로 서로 비슷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봄에는 이들 형제를 구분해 보는 재미가 생기기도 합니다.
기본적으로 진달래와 철쭉은 야생종이고, 산철쭉과 영산홍은 원예종이라고 보면 됩니다.
진달래와 철쭉은 산에서 많이 볼 수 있고 산철쭉과 영산홍은 정원에서 보게 됩니다.
이름만 본다면 철쭉은 산에서 만나고, 산철쭉은 정원에서 만나는 아이러니가 있죠?
지금까지 꽃이 피는 시기와 장소에 형제들 간 차이가 있다는 것은 눈치채셨죠.
이제는 생김새만 가지고 진달래과 형제들을 구분해 볼까요?
꽃만 올라 와 있다. 진달래입니다.
철쭉, 산철쭉, 영산홍은 꽃과 잎이 같이 올라 옵니다.
꽃잎 안쪽에 반점이 없다. 진달래입니다.
진달래에 반점이 있기도 하지만 철쭉, 산철쭉, 영산홍은 반드시 반점이 있습니다.
잎이 둥근 타원형이다. 철쭉입니다.
진달래, 산철쭉, 영산홍의 잎은 크기의 차이는 있지만 기본적으로 긴 타원형입니다.
잎에 털이 있다. 산철쭉입니다.
진달래, 영산홍의 잎이 비슷하지만 산철쭉 잎에는 갈색 털이 많아 구분이 됩니다.
수술이 5개 뿐이다. 영산홍입니다.
진달래, 철쭉, 산철쭉의 수술은 10개 입니다. 가운데 있는 암술 수와 헷갈리지마세요.
겨울에도 잎이 붙어 있다. 영산홍입니다.
진달래, 철쭉, 산철쭉은 낙엽관목이지만, 영산홍은 상록관목입니다.
한 가지만 더!
진달래는 참꽃, 철쭉은 개꽃
진달래과 형제들은기본적으로 독성분(안드로메도톡신)을 몸에 지니고 있지만
독성분이 약한 진달래는 먹을 수 있어 참꽃, 철쭉은 먹을 수 없어 개꽃이라고 부릅니다.
철쭉은 곤충들의 활동이 왕성한 4월말 부터 꽃을 피워 곤충들의 애벌레로부터
꽃을 보호하기 위해 독성물질을 내뿜지만 진달래는 4월 초에 꽃을 피우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철쭉의 꽃자루나 꽃받침을 만져보면 끈적거리는 점성이 묻어납니다.
정원에서 자라는 산철쭉, 영산홍은 철쭉에 비해 더 했으면 더했지 덜 하지는 않겠죠.
꽃 사진 보기!
[진달래]
두견화라고도 불리는 진달래는 술을 담그거나 화전을 부쳐 먹기도 합니다.
[철쭉]
한국이 원산으로 꽃과 잎이 동시에 피어납니다.
[산철쭉]
일본에서 원예종으로 다양하게 개량된 산철쮹은 잎이 꽃보다 먼저 나오는데,
잎에 털이 많이 나 있어 다른 진달래과 형재들과 쉽게 구분이 됩니다.
[영산홍]
영산홍 역시 일본에서 산철쭉을 오랫동안 육종해서인지 왜철쭉이라고도 하며
연산군이 좋아했던 스토리가 있어 연산홍이라고도 불려집니다.
'일상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북구하지정맥류] 하지정맥류 초기 증상이 의심될 때? (0) | 2019.10.23 |
---|---|
[동대문구하지정맥류] 하지정맥류 예방, 하루 30분 걸어라 (0) | 2016.10.06 |